전기자전거나 전동퀵보드등 이모빌리티 제품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느끼시는 걸로 생각이 됩니다.
바로 "스파크" 인데요.
이 스파크 현상은 일종의 방전 현상으로 전기제품에서는 항시 생기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콘센트나 전원스위치들도 작동을 시킬때마다 스파크가 생기게 되고, 그것이 반복적으로 쌓이다가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특히 이모빌리티 제품에서는 충전기와 연결할 때 제법 강한? 스파크로 인해 깜짝 놀라기도 하고, 심하면 배터리의 충전단자나 그타 부품들이 고장나기도 합니다.
그럼 이 스파크 현상을 방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스파크 현상 원인
이모빌리티 배터리와 충전기 연결시
이모빌리티쪽에서 생기는 스파크는 충전기와 배터리간의 전위차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전압이 높은쪽에서 낮은쪽으로 흘러들어가면서 방전이 생기는데 그 접촉구간의 마찰로 스파크가 생기는 것이에요.
10S 충전기와 배터리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리튬이온 10S 충전기의 출력 전압: 42V
리튬이온 10S 배터리의 만충전 전압: 42V
충전기와 배터리팩의 만충전 전압이 42V로 같습니다.
이렇게 전위차가 없다면 스파크도 쎄게 일어나지 않는데요.
배터리가 방전된 후에 연결하는 것이 충전기이기 때문에 배터리의 전압이 낮은상태이고, 그로인해 충전기쪽에서 배터리로 전압이 인가되면서 스파크가 생깁니다.
스파크 해결책
※ 스파크를 줄이는 방법
1.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충전기를 먼저 배터리에 연결한 후에 충전기의 전원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안내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충전기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에 연결하면 스파크가 일어나지 않겠죠? 물론 이 경우 역으로 배터리에서 충전기(콘덴서) 로의 방전이 일어날 수 있지만 그 정도가 강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배터리와 컨트롤러를 연결할때도 배터리에서 컨트롤러로 전압이 인가되면서 스파크가 생깁니다. 이 부분이 출력단자의 손상으로 이어지게 되는데요.
약하긴 해도 생기는 건 생기는 것이죠.
2. 안티스파크 단자를 사용한 방법.
출력단자로 많이 사용되는 XT90단자에 저항등을 달면서 "안티스파크 단자" 라는 이름으로 사용하는 것들이 있는데.. 이 경우 기계의 오류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다른 문제없이 이 스파크를 완전히 방지하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바로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시켜 주는 것입니다.
배터리에 on/off 스위치를 달아서 전원을 차단시켜 주면 전위차에 의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겠죠?
그런데 여기에도 문제가 있는데요.
바로 스위치의 전기적인 사양이 이모빌리티가 요구하는 전기적 사양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스위치 on/off에 따른 스위치 손상도 생각을 해야 하고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구적인 스위치동작말고, BMS의 회로적인 기능으로 스위치를 작동시켜야 합니다.
3. 하이엔드 배터리는 BMS의 기능으로 회로적인 스위치 작동이 가능합니다.
국내에서 개발하고 생산하는 BMS를 장착하는데 개발단계에서 스위치 기능을 넣어 이미 수년전부터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희 하이엔드 배터리는 정품 SDI 셀을 사용하고, 국산 BMS를 적용하기 때문에 스위치를 off 시키면 배터리의 전원이 차단이 되고, 소모전류도 극히 낮아지기 때문에 수개월을 충전없이 방치해도 방전이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결론은..
저희 하이엔드배터리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일상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테크 스카닉S26 배터리 점검. (1) | 2025.04.11 |
---|---|
18650-29E 와 18650-35E 동일 사용자의 오래된 배터리팩 비교. (1) | 2025.04.06 |
중고구매 사기 뻥스펙 파워뱅크 점검. 수리 포기. 배터리 용량 사기 당하지 않는 방법. (3) | 2025.03.30 |
DCB205 디월트배터리 충전불량 점검. 거의 새 것. (충전기 불량) (1) | 2025.03.25 |
"레드펜시타이거", "터키옥" 새우 분양중. (1)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