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에 e-power 120A 로 표기가 되어 있습니다.
내부 배터리가 파우치셀 (리튬이온-폴리머형배터리)로 되어 있어서 수리를 위해 만지다 보면 완전히 고장이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파우치 자체가 얇아서 충격에 상당히 취약하거든요.
검색을 해보니 영업중인 업체인 것 같아서 고객분께는 그쪾으로 문의를 남겨보도록 하였는데요.
해당 배터리는 이파워에서 제작한 것이 아니라고 답변을 받으셨다고 합니다.
제작시 연락을 했던 분과는 연락이 되지 않는다고 하더라고요.
파우치형 배터리는 웬만하면 건들지 않는데 상황이 이러하니 어쩔 수 없이 맡도록 하였습니다.
"문제 증상은 방전은 되는데 충전이 되지 않는다."

e-power 120A 파워뱅크 배터리
처음에는 인산철배터리로 생각했어요.
100Ah가 넘응 파워뱅크들은 인산철인 경우가 많았어서..

사진처럼 파우치형 배터리로 되어 있고, 상단부위는 가이드를 사용하였는데
기존 가이드를 절단해서 대충 맞춘 것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하나씩 뜯어서 폐기를 하려고 했는데.. 그게 복잡하게 되어 있더라고요.
보호회로는 약 30A 정도 사양으로 보이는데.
대전류쪽은 배터리에 직결로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배터리팩의 밸런스가 무너진게 충전불량 증상을 만들었고요.

셀의 스웰링현상과 누액발생이 원인입니다.
파우치 배터리는 기본적으로 가이드들을 장착하고, 눕혀서 사용하는 것이 원칙인데 이 배터리는 가이드도 윗쪽만 있다가 말고, 세로로 세워서 사용을하였네요.
기존 파우치셀은 폐기하고 50E 셀로 리필을 하기로 합니다.

파우치 배터리 폐기

이피워 파워뱅크 리필
기존 사양처럼 3S24P로 제작하였어요.
홀더를 적용해서 안전하게 만들면 딱 그정도 사양이 되네요.
10.89Vdc 117.6ah
최대 60A, 720W. 까지만 사용하시기로 이야기를 하였고.
보호회로는 지속 130A 가능한 제품으로 장착했습니다.

130A 보호회로
중국산 보호회로의 경우 가격만큼 제품의 사양이 나오는 편입니다.
똑같이 130A로 표기가 되어 있어도 가격이 저렴한 것들은 그 이유가 있어요.
크기만 봐도 차이가 많이 나는 편입니다.
FET의 사양과 갯수에서 차이가 나거든요.

파워뱅크의 경우 지속사용으로 열이 많이 발생할 수가 있으므로
보호회로와 셀 사이에는 격벽작업시 거리가 충분히 벌어질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난연스폰지와 PC판을 사용해서 작업을 해주었습니다.

리튬이온 파워뱅크 12V 120A
배터리셀이 출고될때 약 30%의 용량으로 나오게 되는데
잔량표시기가 27%가 뜨는 것을 보니, 얼추 맞는 제품인 것 같아요.
기존 충전기의 사양이 너무 낮아서 KC인증받은 8A 급속 충전기를 같이 주문하였습니다. 충전기들의 커넥터가 5.5 DC잭으로들 되어 있는데.. 실제 DC잭의 사양은 4A정도밖에 안돼는데 8A~10A로 어떻게 인증을 받는지 모르겠네요.
DC잭도 잘라내고 XT60으로 작업을 한 후, 이 파워뱅크에 사용할 수 있도록 XT60 to 악어잭 젠더를 하나 제작해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배터리팩 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물파워뱅크 충전 안 됨. 충전단자 수리. (2) | 2024.12.21 |
---|---|
KT 계측기 용량저하 배터리 리필. (2) | 2024.12.20 |
현대태양광패널 to 파워뱅크 연장케이블 커넥터 MC4 호환 독일정품으로 제작. (1) | 2024.12.16 |
LRP-88AH 배트로닉스 전동릴 배터리 점검 및 수리 (2) | 2024.12.13 |
pleigo 블루투스 마이크 배터리교체 (4) | 202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