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터리팩 제작

3D 프린터로 뽑은 자작품 전동릴배터리 점검 후 폐기. 새로 제작.

by 하이엔드배터리 2024. 8. 14.
반응형

전동릴배터리 수리 문의입니다.

자작하시는 분께 비용을 지불하고 제작하였다고 하시네요.

 

3D 프린터가 활용도가 참 많은 것 같아요.

전동릴배터리 케이스를 뽑아서 사용하였네요.

 

단자는 볼트집에서 판매하는 것으로 박은 것 같은데 아이디어가 좋은 것 같습니다.

 

충전구가 따로 있는데요.

중국회로중에 원가를 더 줄이기 위해서 충전과 방전단을 따로 뽑는 경우가 있는데 그 회로를 적용한 것 같습니다.

일단 잔량체크기에 전원이 들어오지 않고, 전압도 제대로 측정이 되지 않네요.

 

반응형

나사와 실리콘으로 접착이 되어 있어서 니퍼로 뽀개면서 열었습니다.

중국산 셀이 적용이 되어 있는데..

4개 직렬중 3개 직렬단(12개)의 셀이 0V 입니다. 폐기 결정.

 

셀은 검색을 해보니.. 나름 여기저기에 많이 사용이 됐던 것 같아요.

셀이 죽은상태라서 고객분과 협의하여 배터리를 새로 제작하기로 하였습니다.

비용에 맞춰서 보유하고 있는 중고셀을 적용하였어요.

 

늘 이야기 하지만 중고셀이라고, 여기저기 굴러다니던 그런 셀이 아니고요.

저희가 만들어놓고, 판매가 되지 않았거나 재고로 묶여있거나, 샘플로 나갔다가 몇 회 사용되지 않고 돌아온 것들 입니다.

새것같은 중고로 생각해도 좋습니다.

 

4S3P 짜리가 있어서 이걸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각 직렬단 밸런스 정확하고요.

 

스폿배치 보시라고 사진을 올렸고요.

 

홀더를 적용했기때문에 공간이 여유롭지 않습니다.

사진처럼 배선작업을 해야하고요. 전선은 실리콘케이블 AWG18번 입니다.

홀더를 적용하면 안전성도 매우 뛰어나지만, 전동릴배터리의 고질적인 불량인 결로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10A~15A로 방전하면서 발열을 측정한 사진입니다.

악어집게가 물리는 부위가 저항이 가장 많은데요. 전동릴의 연결집게가 녹이 생기면서 발열이 더 높아질 수 있는데, 그런 경우에는 하이엔드 널링단자를 적용하여 집게를 꽉 물려주면 좋습니다.

 

 

케이스쪽의 조립내용은 아래 글을 참조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