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하이엔드 스마트스토어에 판매중인 전동릴배터리 14000 제품의 제작설명서이자, 하이엔드 전동릴배터리 DIY SET를 적용하는 제작 방법 입니다.
하이엔드 전동릴 배터리 14000
케이스 : 국산 난연 ABS
단자 : 국산 SUS316L
BMS : 국산 상시 40A 고출력
가방 : 국산
배터리셀 : 삼성 SDI INR18650-35E
셀 홀더 : 국산 난연 ABS
고무캡을 제외한 필수자재들 전부 국산입니다.
니켈은 미국산과 일본산 순수니켈을 사용합니다.
타 회사들의 전동릴배터리보다 원가가 많이 높으면서 금액은 최저가에 맞춘
갓성비 제품이 되겠습니다.
셀 홀더 조립
하이엔드

난연 ABS 국산 셀 홀더
저희 하이엔드社에스 금형제작하고, 국내에서 사출하는 국산 제품입니다.
물질도 난연 ABS로 최고급 자재를 사용하고 있어요.
DIY SET에 18650을 선택하시면 사진처럼 홀더가 같이 갑니다.
사진처럼 조립을 하시고요.

조립을 하고 난 후에 사진처럼 조립부를 니퍼로 잘라주셔야 합니다.
튀어나온곳은 그냥 전부 잘라내주세요.

배터리 셀 조립
하이엔드


하이엔드 14000 셀 조립 배치
저희 제품은 SDI INR18650-35E 배터리를 4S4P로 조립하여 사용합니다.
시중에 14000으로 광고하는 제품들은 전부 이 배터리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공칭용량은 13400mAh 입니다.
배터리 셀 스폿용접
하이엔드


니켈용접의 경우 가급적 순수니켈을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
전동릴배터리의 사용특성상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이 발생할 수가 있는데..
도금니켈은 결로만으로도 부식이 생길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순수니켈은 그런걸로 녹이 발생하지 않거든요.
그리고 0.1T에 10mm 정도면 한줄만 작업해도 전동릴에서는 충분합니다.
자작하는분들은 보통 0.15T~0.2T를 사용하시니 그부분은 문제가 없겠습니다.
저희는 순수니켈 사용하고, 3겹정도 지나가게 작업하고 있습니다.
외관으로는 티가 안나니.. 고객분들은 모르시지만! 가장 좋게 작업하고 있습니다.
보호회로 BMS 연결
하이엔드

하이엔드 전동릴배터리 BMS
사진으로 찍은 보호회로가 위에 제품이 하이엔드 국산 BMS이고, 아래 제품이 중국산 BMS입니다. 실제로 이 중국산 BMS를 전동릴배터리로 적용한 곳도 있고요.
저희 DIY SET도 기본 구성품으로 이 BMS가 보내집니다.
저희 하이엔드 BMS의 경우 UL 인증까지 받아져 있는 회로기판을 사용하고, 눈으로 대충봐도 크기가 차이나는 FET가 적용이 되어 있습니다.
국내 전기자전거중에 히든파워社의 제품에도 적용이 될 만큼 강력한 출력과 내구성을 갖습니다.
이런 BMS가 적용된 전동릴배터리는 저희 하이엔드 밖에 없을 것입니다.
단가 차이도 10배 정도 납니다.
배터리셀도 중요하지만 BMS가 고장나지 않아야 10년을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배터리에 연결하기전에 BMS에 먼저 전선을 연결해야 작업중 숏트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선작업을 먼저 해주세요.

B0에서부터 시작해서 B4로 끝나도록 순서대로 연결해주시면 되는데요.
중국산은 이 작업이 꼬이면 바로 고장이 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작업해야 합니다.

저는 니켈을 2겹 겹쳐서 연결을 했습니다.
전선은 AWG16번~18번 실리콘 전선을 사용합니다.
홀더없이 작업하시는 분들은 AWG14번 전선을 사용하셔도 되고, 홀더사용하시는 분들은 AWG18번 실리콘 전선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동릴배터리의 전류사양에 맞게 작업하려면 AWG18번 실리콘 전선이면 충분합니다.

BMS 출력단에서도 AWG18번 실리콘 전선을 납땜하고 뒤로 돌려주면 되는데요.
저는 니켈을 3겹 겹쳐서 작업합니다.

배터리 케이스 조립
하이엔드
이제 거의 다 왔습니다.
케이스에 조립하는 일만 남았어요.

저희 하이엔드 전동릴배터리의 단자와 케이스는 나사산이 있으므로 돌려서 체결하면 되는데요. 방수와 고정을 위해 실리콘을 조금 발라줍니다.

잔량표시기 회로를 먼저 체결해 주시고요.
(잔량표시회로는 전부 검사를 해서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전선볼트를 완전히 체결할때는 케이스의 바깥쪽구석으로 향하도록 배치합니다.
볼트를 체결한 후에는 실리콘을 발라서 고정을 해주세요.
풀림방지를 위해 스프링와셔를 사용하지만 전동릴 사용시 풀어질 수도 있습니다.

출력단자 체결을 완료하면 배터리모듈을 방향에 맞게 밀어넣어준 후에.
전선을 납땜하여 연결하시면 됩니다.
(납땜을 한 곳들은 절연처리를 잘해주세요.)
중간 광고


저희는 품질에 대한 자신감으로 불량을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의 결합부위에 실리콘을 도포해서 붙여버립니다.
DIY를 하시는분들은 굳이 이렇게 하지 마시고요.
볼트를 먼저 체결한 후에 그 윗쪽으로 가볍게 실리콘 처리를 해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케이스를 계속 재활용하실 수가 있습니다.

볼트체결을 강하게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케이스나 내부 부품만 손상될 수가 있어요.
그냥 가볍게 잡아주는 느낌으로 체결하시면 됩니다.

이제 볼트를 가려주는 작업인데요.
바로 데코를 붙여주는 것입니다.
나사가 보이지않는 제품이 되겠습니다.

앞면(암놈)을 먼저 밀어서 부착하신 후에 뒷면(숫놈)으로 연결하시면 되는데요.
혹시 돌기가 부러지더라고 그건 제거를 한 후에 부착하시면 됩니다.

가장 단순하면서도 중요한 작업이 잔량표시등 라벨을 부착하는 것입니다.
이걸 잘못붙여서 들뜨게 되면 그쪽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가장 주의를 해야하는 부분입니다.

고무캡 작업시에도 실리콘을 발라서 두어바퀴 돌려주셔야 떨어지지 않습니다.

가방에 넣은 모습입니다.
이 가방조차도 국산이에요. 재질을 보시면 싸구려와 차이가 납니다.
감사합니다.
'배터리팩 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토벨로 A9 배터리 충전안됨 점검. (1) | 2025.03.17 |
---|---|
디월트배터리 DCB606 작동 불량. 침수에 의한 부식이 원인. (1) | 2025.03.16 |
전동퀵보드 배터리 점검 입고. "수리불가" (1) | 2025.03.02 |
알리익스프레스 디월트플렉스볼트 배터리 케이스세트 조립하기. (1) | 2025.02.26 |
디월트플렉스볼트 배터리 충전 안됨 수리. 원인은 잔량표시기 불량. (1) | 2025.02.24 |